✔️ 서비스소개

- 네이버가 제공하는 AI 기반 회의 기록 관리 서비스
- 음성 인식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해 회의 내용을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하고 요약하는 기능 제공
✔️ 성장 요인
- AI 기술 성장과 시장 확장
- 한국어 음성 인식 정확도 :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를 활용해 한국어 인식 성능이 뛰어나 국내 사용자들에게 큰 신뢰를 얻는 요인이 됨
- 비대면 업무 환경에 적합한 기능(예: 실시간 메모, AI 요약 등)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 개선
- 일본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반응을 얻으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 (라인웍스 사내 채팅 서비스와 동기화)
✔️ 문제 정의
- 기존 회의 기록 방식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, 정확성이 떨어지며 협업 효율성을 저하시킴
- 비대면 업무 환경이 확산되면서 회의록 작성과 공유 과정에서 불편함이 가중
✔️ 솔루션
- 자동화된 음성 기록 및 요약 : AI 기술을 활용해 녹음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, 주요 주제와 다음 할 일을 요약
- 공유 링크 생성 및 동료들과의 실시간 협업 기능을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
-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, 일본어,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여 글로벌 사용자의 접근성을 확대
✔️ 수익구조 및 경쟁사 조사
- 추가 기능 (예: AI 요약 횟수 확대)
- 기업용 플랜과 같은 업그레이드(?) 서비스
경쟁사 조사
다글로
Otter.ai
셀바스 AI
카카오 i
✔️ 기대효과
- 업무 효율성 향상 : 회의록 작성 시간을 대폭 줄이고, 정확성과 협업 효율성을 높임
- 비용 절감 : 기업들이 별도의 인력이나 자원을 투입하지 않고도 회의 기록과 관리를 자동화할 수 있음
- 디지털 전환 가속화: AI 기반 업무 도구의 활용으로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
✔️ 장·단점
장점
UX
1. 키워드 터치로 빠른 탐색 가능 : 음성 기록에서 특정 키워드를 터치하면 해당 키워드가 언급된 시점으로 즉시 이동해 긴 음성 기록에서도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어 효율적인 탐색이 가능

2. 사용자 맞춤형 가독성 제공 : 글자 크기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력이나 기호에 맞게 최적의 가독성을 확보할 수 있음
(다양한 연령층과 환경에서도 편안한 읽기 경험을 제공)

3. 안전한 음성 기록 공유 : 공유 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하여 회사 기밀이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음성 기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
(보안이 강화되며,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공유 환경 제공)

4. 캘린더 '오늘' 버튼 : 과거 음성 기록을 탐색하던 중 ‘오늘’ 버튼을 누르면 즉시 오늘 날짜로 돌아올 수 있음
(과거 음성 기록을 찾다가 '오늘'로 다시 돌아가야 하는 상황에서 생기는 번거로움 해소)

UI
1. 대화 점유율 시각화 : 참석자별 코멘트 비중을 그래프로 제공하여 대화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여 회의나 인터뷰에서 누구의 발언이 많았는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음

2. 캘린더 : 캘린더를 통해 녹음 기록을 날짜별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원하는 기록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 체계적인 기록 관리가 가능하고, 회의나 인터뷰 등의 중요 녹음을 쉽게 정리하고 활용할 수 있음

단점
UX
1. 즉시 재생으로 인한 불편함 : 키워드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음성이 재생되어, 해당 지점에서 일시정지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불편함
(원하는 지점을 일시정지 상태로 제공하고, 사용자에게 재생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 더 편리하지 않을까?)

2. 플로팅버튼 터치를 강요하는 플로우 : 앱 실행 시 홈 화면에서 플로팅 버튼을 먼저 터치해야만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특정 행동을 강요함
(사용자의 자유로운 탐색을 방해하고, 반복 사용 시 불필요한 조작을 계속해야 하는 불편함과 짜증 유발)

UI
-
'✐ case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X/UI 케이스 스터디] 뉴닉 (2) | 2025.02.19 |
---|---|
[UX/UI 케이스 스터디] 레딧 (3) | 2025.02.17 |
[UX/UI 케이스 스터디] 답다 (1) | 2025.02.12 |